태양 일식
태양이 가려져서 보이지 않는 신기한 현상. 일식은 예전부터 태양을 가린다는 임팩트 때문에, 동서양을 가리지 않고 불길한 징조에 속했습니다. 왜냐하면, 태양은 항상 왕, 국가의 운명과 관련지어졌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서, 조선시대에는 일식을 '용이 태양을 먹는 현상'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태양을 먹으려는 용을 쫓으려는 의식을 치르기도 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일식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일식이란?
일식이란, 말 그대로 태양이 가려진다는 뜻입니다. 이때, 태양이 전부 가려지게 되면 개기일식, 태양이 일부만 가려지게 되면 부분일식이라고 합니다. 참고로, 태양이 가려지기는 했는데 중앙부만 가려져서 태양의 끝자락이 빛나게 되면 이 모양이 금반지 모양과 비슷하다고 하여 금환일식이라고 합니다.
일식의 단어 그대로의 뜻은 위에 말한 대로 태양이 가려지는 것이다. 그런데, 태양이 무엇에 의해서 가려지는 걸까? 정답은 달이다. 태양계라는 한 계에 위치한 태양, 지구, 달이 각각의 궤도에서 공전을 하다가, 태양-달-지구 순으로 배열이되는 순간에 달이 태양을 가리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달이 태양에 비해서 크기가 엄청나게 작은데 어떻게 달이 태양을 가리게 되는 걸까?
달이 태양을 가릴 수 있는 이유
달이 그렇게 큰 태양을 가릴 수 있는 이유는 당연히도, 태양은 큰만큼 지구와의 거리가 멀고(광속으로 약 8분 거리), 달은 작은 만큼 지구와의 거리가 가깝기 때문입니다(지구에서 달까지는 약 광속으로 1.3초 거리). 그래서 태양의 크기가 달의 크기와 비슷해 보이게 됩니다.
위의 그림에서 달에 의해서 지구에 생긴 검은색 그림자를 본영이라고 하고, 회색 그림자는 반영이라고 합니다. 진한 그림자인 본영 부분에 존재하는 지역에서는 개기일식이 나타나게 되는 것이고, 반영 부분에 존재하는 지역에서는 부분일식이 나타나게 됩니다. 일식이 일어난다고 해서 지구 전체에서 같은 형태의 일식이 나타나는 것이 아니고, 반영 그리고본영이 지구의 어디에 위치하는지에 따라서 관측할 수 있는 일식이 다릅니다.
같은 시각에 일식을 관측해도, 같은 형태의 일식이 나타나지는 않는다는 말입니다. 그리고 본영이 위치해서 해가 완전히 가려지는 개기일식은, 관측할 수 있는 지역이 상당히 좁아서(본영이 닿는 지역) 관찰할 수 있는 기회도 적습니다.
가장 최근에 있었던 과거의 일식
가장 최근에 있었던 일식은 언제였을까?
부분일식은 생각보다 자주 관측할 수 있는 편입니다. 우리나라에서 2~3년마다 한 번쯤은 부분일식이 관측됩니다. 가장최근에 있었던 부분일식은 2020년 6월 21일이었고, 이때는 달이 태양의 절반 정도를 가린 부분일식이었습니다. 자주 관측할 수 없는 개기일식으로 말하자면, 2009년에 있었던 개기일식은 태양의 98%까지 가려졌던 개기일식이었습니다. 개기일식이 이어지는 동안에는 낮인데도 햇빛을 잘 볼 수 없었다고 합니다.
미래에 올 일식
우리가 볼 수 있는 일식은 언제일까? 안타깝게도, 한국에서 개기일식을 관측하려면 꽤 오랜 시간을 기다려야 합니다. 가장 가까운 미래에 있을 개기일식은 2035년 9월 2일이라고 합니다. 만약 이날 개기일식을 관측하고 싶다면, 강원도 고성으로 가야 합니다. 본영이 한반도에 닿는 부분이 이북지역과 강원도 고성지역 일부라고 합니다.
다음 금환일식은, 2041년 10월 25일이라고 합니다. 이때도 북한의 지역과 독도 정도에서만 관측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잡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성 화성 특징 화성 테라포밍 (0) | 2021.03.10 |
---|---|
블랙홀 블랙홀 관측, 증거 (0) | 2021.03.09 |
태양계 태양계의 형성과 구조 (0) | 2021.02.28 |
암흑물질 우주의 다크나이트 (0) | 2021.02.23 |
태양의 흑점 (0) | 2021.02.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