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팅에서는 태양계에서 태양을 제외하고 가장 큰 천체이자, 다섯 번째 행성인 목성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목성은 태양계에 안에서의 존재가 의미하는 바가 크다. 목성의 어떤 특징 때문에 목성이 태양계에서 태양 다음으로 영향력이 큰 천체가 되었는지 목성의 특징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겠다.
목성의 특징
목성의 질량에 관한 사실
목성의 질량은 태양계에서 태양을 제외했을 때 가장 큰 질량을 가지고 있다. 태양계에서 태양의 질량이 차지하는 비율이 약 99.8%인데, 태양의 질량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서 목성이 차지하는 비율은 무려 2/3이다!(심지어 목성을 제외한 7개의 행성의 질량을 다 합쳐도 목성 질량의 절반도 되지 않는다) 또한 목성과 지구의 질량을 비교했을 때, 지구의 질량의 약 318배 정도의 질량을 가지고 있다. 이는 다르게 말하면 목성은 태양을 제외한 태양계 내의 천체들 사이에서 무시 못할 중력을 행사하고 있다는 뜻인데, 목성이 가지는 커다란 중력이 태양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뒤에서 살펴보도록 하겠다.
목성의 크기에 관한 사실
목성의 부피는 태양계에서 태양을 제외했을 때 가장 큰 부피를 가지고 있다. 목성의 반지름은 지구의 약 11배이고, 부피는 약 1300배나 된다. 태양계 내에서 토성도 거대한 크기를 가지고 있는 편인데, 목성은 토성 부피의 약 2배 정도에 달할 정도로 큰 크기를 가지고 있다.(그런데 목성과 다르게, 토성은 크기에 비해서 약한 중력을 가지고 있다)
목성의 구조
-목성의 내부 구조
일단 목성은 기본적으로, 수소와 헬륨으로 이루어진 가스가 주요 구성성분인 행성으로 알려져 있었다. 하지만, 여러 연구를 통해서, 목성이 가스로만 이루어져 있으면 가스가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면서 존재할 수 없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결국 나중에, 목성의 핵에는 가스를 붙잡을 만큼 커다란 금속성분의 핵을 가지고 있다고 밝혀졌다. 이런 금속과 암석이 주성분인 목성의 핵 덕분에, 목성은 토성과 달리 강력한 중력을 가지고, 강한 자기장도 가지고 있다.
목성을 육안으로 관측했을 때 볼 수 있는 가장 큰 특징이 있는데, 이는 대적반이다. 대적반이란, 크고 붉은 얼룩이라는 뜻인데, 사진을 통해서 확인해보겠다.
그렇다면, 이 대적반의 정체는 무엇일까? 여드름처럼 보이기도 하고, 산과 같은 지형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이 점의 정체는 바로 소용돌이이다. 표면이 수소, 헬륨 등의 기체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목성의 표면에서는 크고 작은 소용돌이가 자주 일어나는데, 대적반도 이런 소용돌이(태풍)의 결과이다.
-목성의 외부(고리, 위성)
목성도 고리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토성처럼 크고 강렬한 고리가 관측되지 않는 이유는 고리의 주성분이 먼지와 같은 자잘한 것들이기 때문이다. 예전에는 1개의 고리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지만, 최근 연구에 따르면 4개의 고리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목성은 위성을 매우 많이 보유하고 있다. 지금까지 밝혀진 목성의 위성 개수는 모두 79개로, 작은 태양계라는 별명도 가지고 있다. 목성이 가지고 있는 위성 중에서는 연구가치가 높은 위성들이 많아서, 현재까지도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목성의 영향력
거대한 크기와 질량에 걸맞게, 목성은 지구를 포함한 태양계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대표적으로, 화성과 목성 사이에 존재하는 수많은 소행성들을 자신의 중력으로 거느리고 있다. 그리고, 태양계 바깥에서 태양계로 들어오는 수많은 소행성들을 끌어당겨주어서, 태양계로 들어오는 소행성들을 지구 바깥에서 막아주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볼 수 있겠다. 목성 덕분에 지구를 향해 날아오는 소행성들의 숫자가 줄어들어서, 지구에 생명체가 번성할 수 있는 안정적인 조건을 만들어줬다고 할 수 있겠다.
'잡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왕성에 대해, 명왕성 퇴출된 이유 (0) | 2021.03.17 |
---|---|
달 달 크기 달 지형 달 사진 (0) | 2021.03.15 |
별의 탄생과 소멸, 별의 생애 (0) | 2021.03.10 |
화성 화성 특징 화성 테라포밍 (0) | 2021.03.10 |
블랙홀 블랙홀 관측, 증거 (0) | 2021.03.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