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at's one small step for man, one giant leap for mankind." 한국말로 하면, '이것은 한 인간에게는 작은 발걸음이지만, 인류에게는 거대한 도약이다.'라는 뜻이다. 이는 1969년, 아폴로 11호를 타고 인류 역사상 최초로 달에 착륙한 닐 암스트롱이 한 말이다. 현재에는 우주비행이 민간단계에서도 논의가 될 만큼, 1969년 이후로 우주과학에는 엄청난 발전이 있었지만 여전히 인류가 우주 밖의 천체를 탐사한 유일한 천체는 달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구의 유일한 위성, 가장 가깝고 친숙한 천체이지만, 수많은 음모론과 신비함의 주인공인 달에 대한 사실들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달에 대한 기본적인 몇 가지 사실
달은 지구로부터 약 38만 km 떨어진 곳에서 지구를 기준으로 공전한다. 또한, 달은 한 달 정도를 주기로 지구를 공전하는데, 자전도 한 달 정도를 주기로 자전한다. 공교롭게도 달의 공전 주기와 자전주기가 같기 때문에, 지구에서는 항상 달의 앞면만을 볼 수 있다. 달의 지름은 지구의 약 1/4 정도이고, 태양의 지름과 비교했을 때는 1/400이다. 지구와 비교해서 달의 부피는 약 1/50이고, 표면 중력은 지구의 약 1/6이다. 중력이 매우 약하기 때문에 기체를 잡아놓을 수 없어서, 달에는 대기가 없다고 봐도 될 정도로 희박한 대기가 있다. 이와 관련해서 달에 물은 극소량 존재하고 대기가 거의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풍화작용이 일어나지 않아 운석의 충돌로 이루어진 크레이터들이 시간이 지나도 그 모습 그대로 존재한다.
달의 지형
달의 지형은 간단하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하나는 상대적으로 저지대인 바다, 나머지 하나는 상대적으로 고지대인 고지이다. 육안으로 달을 관측했을 때, 바다는 상대적으로 어두운 색을 띠고 고지는 그보다 밝은 색을 띠기 때문에 구분하기가 쉽다.
먼저 달의 바다에 대해서 설명해보겠다. 일단 달에 바다라는 이름을 붙인 사람은 천문학자였던 케플러인데, 그는 달을 관측하면서 달의 어두운 부분에는 물이 차있는 바다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였기 때문에 바다라는 이름을 붙이게 되었다. 훗날에 달에는 실제로 물이 있는 바다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 밝혀졌지만, 이름은 그대로 굳어져 오늘에 이르게 되었다. 달의 바다가 어두운 색을 띠는 이유는, 달의 바다를 이루는 주성분이 현무암과 용암이기 때문이다.
또한, 달의 바다에는 고지보다 크레이터의 수가 적은데, 이는 대지가 낮은 곳에 있는 크레이터들은 용암에 의해서 가려졌기 때문이라고 한다. 사진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지구에서 항상 보이는 달의 앞면에서는 약 30%가 바다 지형이지만, 달의 뒷면에서는 2% 정도로 적다. 여담으로, 달의 바다는 대지가 낮고 평평한 곳이기 때문에(크레이터의 수가 적다), 만약 훗날에 달에 기지를 건설하게 된다면 바다에 건설할 가능성이 크다.
달의 고지에 대해서 설명해보겠다. 고지에는 크레이터(분화구)가 많고, 바다에는 크레이터가 적다. 그런데 이는 단순히 달의 바다 부분에는 운석 충돌이 적었던 것이 아니고, 대지가 낮은 곳에는 크레이터들이 화산에서 나온 용암 때문에 가려졌기 때문이다. 고지가 대부분인 달의 뒷면에는 크레이터들이 매우 많이 존재한다. 이 크레이터들은 운석 충돌로 생성된 것이 대부분이지만, 크기가 작은 것들은 과거에 화산의 분화구였을 가능성이 있다.
지구와의 상호작용
지구와 멀리 떨어져 있지만, 지구와 달은 중력으로 상호작용을 일으킨다. 실제로 이런 상호작용을 통해서, 지구의 환경과 생태계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 아마도 달이 없었으면 지구에는 생명체가 이토록 풍부하게 존재하지 못했을 것이다. 첫 번째, 달이 있기 때문에, 밀물과 썰물(조석현상)이 일어난다. 만약에 달이 없었다면, 갯벌을 주 서식지인 모든 생명체들이 멸종해 생태계가 파괴될 가능성이 있다. 두 번째, 달빛에 크게 의존해 사냥하는 야행성 동물들의 개체수가 감소할 것이다.
'잡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양계 행성 순서 (0) | 2021.03.22 |
---|---|
명왕성에 대해, 명왕성 퇴출된 이유 (0) | 2021.03.17 |
목성 목성 특징 목성 크기 (0) | 2021.03.12 |
별의 탄생과 소멸, 별의 생애 (0) | 2021.03.10 |
화성 화성 특징 화성 테라포밍 (0) | 2021.03.10 |
댓글